지금까지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쓰기 관련 글을 34개를 발행했다.
판매되는, 설득하는 글쓰기와 관련된 책, 강의를 나름 많이 읽었고, 일반인 보다 글을 잘 쓴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최근 클래스 101의 자청, 주언규PD, 대학생 김머신 글을 분석하려고 했는데 점점 멘붕이 왔다.
왜 그럴까?
사실 스스로 알고 있으면서 회피하려고 했던 것 같다. 글쓰기를 꾸준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의를 보고 방법을 알게 되었다고 인지하는 건 초등학생도 할 수 있다. 실제로 해보는 것과 그냥 보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지금까지 나는 요리 만드는 영상을 보고 나도 똑같이 요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 건 아닐지 의문이 들었다.
꾸준함은 쓰레기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고민해 보았다.
스스로 실행력이 좋고, 꾸준히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착각이었다. 분명 군대를 막 전역했을 때는 실행력이 매우 좋았다. 하지만 지속적인 실패를 맞이하면서 자존감, 자신감이 추락했다. 점점 실행하기 전에 자기합리화를 하는 모습이 느껴졌다. 나도 모르게 실패를 두려워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일을 하든 꾸준하게 하지 않았다. 군대에서 창업 아이템을 고민하다 무작정 청년창업지원금에 도전하고, 로고디자인, 해외구매대행, 구글 애드센스...
평균적으로 6개월에 한 번씩 바꼈던 것 같다.
지금까지 실행력과 꾸준함만 있다면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지난 날을 되새기며 여러가지 감정이 스쳐지나갔다. 그리고 실행력과 꾸준함이 답이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
'집요한 실행력' 이게 답이다.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요하게 파고드는 실행력, 지금 나한테는 이게 필요하다.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
글쓰기로 돈을 벌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다가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11월에 티스토리를 시작해 광고 승인을 받았다. 그런데 공부를 하고, 알아갈수록 내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었다.
그렇게 계속 어떤 것에 집요하게 달려들지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 원래는 깊이 고민하지 않고, 괜찮겠다 싶으면 강의를 보고 바로 따라했었다. 하지만 이번에 또 그렇게 하면 이전과 같은 일상이 반복될 것 같았다. 그래서 창업-부업 강의를 쭉 훑어봤다. 쇼핑몰, 블로그, 디지털 파일, 퍼스널 브랜딩, 제휴 마케팅, 인스타 마켓, 유튜브 등등 너무 많았고, 결국 눈에 들어온 것은 웹 개발이었다.
기억이 잘 나진 않지만 예전에 자청님이 한 말 중에 억만장자, 백만장자 사업가들은 전부 어릴 때 랜딩페이지를 만들 줄 알았다고 한다. 그리고 빅데이터 교육을 들은 적이 있어서 웹 개발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력은 있다. 물론 교육 받을 당시에는 파이썬, 크롤링 머신러닝, 딥러닝 쪽에 관심을 가졌었다. 그래도 HTML, CSS, JS도 같이 들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감만 익히면 금방 만질 수는 있을 것 같다. 먼저 워드프레스로 빠르게 연습을 해보자.
이렇게 고민이 끝난 줄 알았는데 원래 개발에는 4개의 직군이 필요하다는 것이 맴돌았다.
웹 사이트를 개발하려면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가 필요한데, 흠.. 하나씩 능력을 키워볼까?
사실 쓸데없는 고민이었다.
정말 고가의 상품이라면 능력을 키우거나 외주를 맡기면 되는데 나는 처음에 저가로 판매할 것이다.
정말 개발만 해주면 된다. 개발 비용은 원래 비싸다.
번외로 카피라이팅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개발에 적응을 하면 카피라이팅과 함께 더 고가에 판매하면 된다.
이렇게 생각을 끝 마쳤다. 이제 12월 30일에 이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정신이 없다. 말일까지는 청소도 해야하고, 체크할 것도 있기 때문에 1월부터 시작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 글을 보게 되었다.
https://m.blog.naver.com/kwonjackie2/222962289855
내일 당장 5만원을 벌라고 하면 벌 수 있는가?
평생 자기계발만 하고 사업으로 돈 못 벌어도 상관 없다면, 나가라. '자기계발 좀비'는 안 받는...
blog.naver.com
'하.. 핑계 대지 말고 그냥 하루 빨리 개발하는데 감을 잡자.'라는 생각만 들었다.
지금 바로 시작하기 전에 글쓰기 이론에 대해 정리만 하고 바로 웹 제작 연습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