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글쓰기를 해도 변화할 수 없었던 이유

by 공백채우기 2022. 11. 17.

 

 

 

평소에 글쓰기를 어떻게 하는가?

시작에 앞서 90%의 사람들은 꾸준히 글쓰기를 하지 않는다.

아니, 99%의 사람들이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위 1%의 사람만이 성공할 수 있고,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운동으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유산소 운동만 하고 보디빌더가 된 사람이 있을까?

아무리 찾아봐도 없을 것이다.

 

걷기, 뛰기, 줄넘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은 기초 체력을 기르기 위해서 하는 운동이다.

하지만 누가봐도 좋은 몸을 가지려면 팔굽혀펴기, 턱걸이, 스쿼트와 같은 맨몸 운동부터 고중량 기구까지 사용할 줄 알아야 비로소 예쁜 몸이 완성된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매일 일기를 쓴다고 지능이 높아지거나 의사결정력이 좋아지지 않는다.

문학, 판타지 소설 등과 같은 책을 읽고 글쓰기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발전이 없거나 더딜 수밖에 없다.

그리고 변화가 없기 때문에 꾸준히 실행하지 못 한다.

만약, 조금이라도 변화하고, 이 부분을 스스로 느낄 수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글쓰기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을 것이다.

 

일기, 판타지 소설과 같은 글쓰기 방식은 운동에 대한 개념이 아예 없는데 감으로만 기구를 사용해서 운동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과연 예쁜 몸이 나올 수 있을까?

이상하게 근육이 붙거나 '난 체질상 근육이 잘 생기지 않아.'와 같은 핑계를 댈 것이다.

 

글쓰기란 기술을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보았다.

 

 

 

지능을 높여주는 글쓰기

먼저, 초보자라면 일기와 같은 글을 작성해도 무관하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습관을 잡아주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수준을 올려서 글을 쓰게 되면 100% 고민만 하다가 글쓰기를 포기한다.

그렇기에 일기, 생각정리 등과 같은 쉬운 글쓰기로 습관을 완성한 후에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야 한다.

 

 

 

다음으로 깊이 있는 글쓰기를 시도해 봐야한다.

지금까지 써왔던 글들은 일기, 생각정리, 해야할 일과 같은 간단한 글쓰기였을 것이다.

여기서 의사결정력과 지능을 높여주려면 한 사건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루 일과 중에 문제에 부딪혔던 일, 과거에 후회하는 일 등이 있을 것이다.

그때 당시에 '어떻게 하면 현재 후회하지 않고 더 좋은 결과를 만들었을까?'에 대해 글을 작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글을 작성하면 2가지 효과를 얻어갈 수 있다.

첫 번째로 글로 작성하면 생각만 했던 불완전한 지식이 완전한 지식으로 바뀐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더 좋은 결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변수에 대비할 수 있다.

살아가면서 꼭 똑같은 상황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상황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미 한 번 겪어보았고, 글쓰기를 통해 완전한 지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을 겪더라도 전보다 더 유연하게 상황을 대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퍼즐 찾기다.

혼자서 아무리 고민을 해봐도 정답이 안 나올 때가 분명있다.

이럴 땐 부족한 지식을 찾아나서야 한다.

 

정답을 알 것 같은 사람한테 조언을 구해도 되고, 강의, 지식인 등에 질문을 해도 좋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식은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책을 보는 것이다.

굳이 구매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책을 완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관련 책을 찾았다면 목차에서 궁금한 부분만 읽으면 된다.

좋은 책이라면 목차가 잘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는 지식을 금방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찾아 나서야 한다.

모른다고 혼자서 며칠동안 고민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생각은 깊이 하는 것이지 길게 하는 것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마지막으로 위의 글은 개인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틀릴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고, 더 좋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직접 실행해보고 가장 좋았던 방식이기 때문에 한 번쯤 실천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추천해주길 바란다.

댓글